탈것·정비

[스크랩] 바이크 밧데리에 대해 알아 봅시다

Maverick71 2007. 9. 4. 07:58

 

오늘은 바이크 밧데리에 대해서 얘기 합시다..

우선 라이더 대부분이 한번쯤 경험 햇을법한 밧데리 방전

시동불능..시동 꺼짐. 기타등등

거의 대부분의 전기적인 결함은 90%이상이 밧데리의 영향이 잇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우선 밧데리를 봅시다

많이 보든 바이크용 밧데리 입니다..자동차용 밧데리와 달리 바이크용 밧데리는

수요가 많지 않은 관계로 밧데리 본체와 전해액을 따로 분리해서

판매 하고 잇음니다.장기 보존이 목적이죠

해서 밧데리를 구입하면 전해액을 밧데리에 붓고 약1시간후부터 전해액과

밧데리본체에 잇는 극판이 화확반응으로 인해서 전기가 생겨납니다

 

흔히들 밧데리가 겨울이면 맛이 간다는 표현을 하는대

그것은 잘못된 상식입니다..

밧데리가 맛이간 상태에서 겨울에 들어 섯기 때문에 밧데리의 성능이 제대로

발휘 못되는것 뿐이죠..

사실 밧데리액이 충만된 상태에선 20℃보다 영하2℃에서 보관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보관하는 온도보다 더 중요한 사항은 보관 시에는 필히 만 충전된 상태에서 보관해야 하며 방전된 상태에서 보관하면 충전해도 회복이 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그럼 밧데리가 맛이 갓나 아니면 제네레터가 맛이갓나 레귤레터가 맛이 갓나에

대해 보겟음니다..

첫번째로 이걸 점검 하실려면 전압테스트기가 잇어야 합니다..

둘째로 바이크가 충분이 예열이 되어잇어야 하고요

셋째로 엔진공회전 속도가 약 1.500rpm 그러니깐 약간 시끄러울정도로

           엔진이 돌아 가고 잇어야 합니다.

 

측정방법: 밧데리에 직접 전기를 재어 보세요

         13.5V이상 나오면 일단은 정상입니다

12V 이하이거나 14.5V이상이면 이제부턴 머리 복잡해집니다..

15V이상이라면 당연히 레귤레이트 이상이겟죠..레귤레이트는 제네레터에서 발생된

전기를 DC전기로 바꿔주는동시에 전압을 규정된 양만큼 일정하게 유지 시켜주는 역활을

하니깐요..

 

12V 이하로 다온다면 레귤레이트에서 나오는첫번째 배선을 찻아서 전압을 첵크 하시고 밧데리에서 전압을 첵크 하셧을 경우 전압차가 1V이상 나신다면 중간에 배선에서 전기가 잘 안통한다는 말입니다.

 

이때는 손쉽게 점검 하는법이 전기배선 중간에 잇는 컨넥터 부분을 분리해서

유심히 보세요..전기가 잘 안통하는 90%이상이 컨넥터 부분에서 발생 됩니다..

컨넥터가 까맣게 변해 잇거나 녹아 잇다면 직선을 매어 주든지 배선을 교환 하십시요..

 

배선을 점검 하엿는대 멀쩡하다고 한다면 레귤레이트를 의심 하세요

제네레터 생각외로 튼튼한 부품입니다..쉽게 안나가죠.. 이젠 돈이 들어 가죠..^^

또~ 개인이 정비 하기에는 힘드니깐 전문 업소에 정비를 의뢰 하세요

 

다음..밧데리에 13V 이상의 전기가 들어오고 잇는대도 방전이 된다면

90% 이상이 밧데리죠..밧데리 수명이 궁금 하신분들이 많으신대

개인적인 생각으로 국산은 약 10.000km 에 1년정도 외제는 약 20.000km에 2년정도

예상 하세요 물론 바이크 상태따라 틀림을 밝혀 드립니다.

관심이 잇으신분들은 한번쯤 시도 해보시고 모르겟다 하시는분들은 돈으로 떼우면 됩니다

진료는 의사에게 약은 약사에게..

비오는 날에만 헛짓거리 하는 안산쉐도우인대 오늘은 날씨도 좋은대

일이 없어서...한자 적어 봅니다..읽어주셔서 감사하구요 내용이 절대적인것이 아님을 밝혀 드립니다..참고로 재미로..^^

 

참고 : 밧데리를 정상적으로 오래 쓰고 싶으면 지켜야할 수칙이 잇음니다.

       첫째로 방전을 시키면 안됩니다.. 키를 항상 of 시키고 난후에 다른 악세사리

       에 전기가 세어 나가는지 확인 하시고 바이크를 오래 대기 시켜 놓을경우는 몇일에

       한번정도는 정상적으로 운전을 해야합니다..약 30분 정도~

 

       둘째: 발전기에서 생산되는양보다 더 많은 전기용품(안개등. 비상등. 파박이.오디오....)

       을 사용을 자제해주시길 바랍니다. 발전기에서 나오는 전기는  전장용품의 구동에

       쓰이고 나머지는 밧데리에 충전이 되야 하는대 쓰는 전장용품이 많다면 당연히

       밧데리의 전기를 뺏어 먹겟죠....그럼 밧데리의 수명단축의 한 원인이 됩니다

      

       셋째: 귀찮더라도 운행후 전기기구을 꺼고 (라이트.안개등.비상등.파박이.오디오)

       30초에서 1분정도는 공회전을 시켜 주세요..상시 켜잇는 라이트경우에는 별도 스위치

        부착이 좋겟구요 엔진및 밧데리 수명연장에 상당한

       도움이 됩니다..주의할점은 공회전이 약 1500rpm정도로 높아야 합니다.

      

        네쩨 : 만약에 실수로 방전을 시켯다면 밧데리 충전기로 완충을 시켜 주세요..

        어설프게 몇 십분 운행 한다고 밧데리 완충이 안됩니다...

         밧데리는 항상 빵빵하게 전기를 가지고 잇어야 오래 오래 쓸수 잇답니다

 

 

출처 : 쉐도우클럽혼다   글쓴이 : 안산쉐도우님

출처 : T.S.C [The Shadow Club]
글쓴이 : 밀알(강신관) 원글보기
메모 :